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통신사 유료 부가 서비스 ?

by 오언니 2025. 11. 1.
반응형

휴대폰 사용 중 나도 모르게 가입되는 유료 부가서비스 해지 방법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자주 보지 않지만 어느 날 휴대폰 요금 고지서를 봤더니 이상한 서비스 요금이 빠져나가고 있다면? 나도 모르게 가입된 유료 부가서비스 때문일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런 서비스가 어떻게 가입되는지, 그리고 통신사별로 해지하는 방법까지 깔끔하게 정리해 보겠습니다.

 

1. 유료 부가서비스란?

유료 부가서비스는 기본 요금제 외에 별도의 요금을 내고 사용하는 부가 기능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서비스들이 이에 해당합니다.

 

통화 연결음(컬러링)

안심 서비스 / 분실·파손 보장

문자 알림 / 날씨 / 운세 / 만보기 서비스

클라우드 / 보안 서비스

영상통화 / 콘텐츠 구독 서비스 

등등 

 

 통신사 매장에서 가입하거나 고객센터 또는 각 통신사 어플을 통해 가입하는 서비스들은 대부분 안내를 받아 가입하거나 사용기간을 두고 가입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문제는 유료 서비스가 본인이 동의 했는지 모르는 상태로 가입되었을 경우 청구 고지서가 나온 후에나 몇달이나 몇년이 지난 후에 알게 되는 경우들이 많다는 것입니다.

 

2. 나도 모르게 가입되는 주요 경로

1) 앱 설치나 웹사이트 이용 중 자동 결제

앱 다운로드나 이벤트 참여 중 서비스 이용 동의를 체크하면서 가입되는 경우 무료 체험 종료 후 자동 결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쇼핑앱이나 위치 찾기 주식정보등의 인증이나 안내를 받다가 가입되는 경우도 많답니다

예시 : 운세 앱, 날씨 알림, 벨소리 앱, 만보기 앱 등에서 무료 이용 후 자동결제

 

2) 문자 또는 전화(ARS)를 통한 가입

“1번 입력 시 무료 체험 시작이라는 문자를 받고 응답할 경우

실제로는 유료 서비스에 가입 동의한 것일 수 있습니다.

 

3) 앱 메뉴 탐색 중 부가서비스 신청 버튼을 잘못 누르는 경우도 종종 발생합니다.

 

>> 고지서에 청구되는 유료 부가서비스들은 가입되면 고객센터에서(114) 유료부분을 안내 합니다. 예를 들어 "주식정보서비스 11,000원이 가입되어 청구 됩니다"

  그러니 114문자를 차단하거나 귀찮아 하지 마시고 꼭 체크하시면 도움이 됩니다. 또한 고지서를 3~6개월에 한번은 확인 하시길 권유 드립니다. 혹시 나도모르게 가입되었더라도 빠른 확인만이 지갑이 새는 것을 막을 수 있습니다. 

 

3. 유료 부가서비스가 확인 되었다면 해지 방법

>> SK텔레콤 (T world)

1) 확인   [T world ] 내 정보 가입정보 부가서비스 조회

             T world 웹사이트 로그인 마이페이지 가입내역 조회

2) 해지 방법

      - 앱/웹에서 직접 해지 가능

      - 고객센터 114 0번 상담원 연결

      - T월드 매장 방문도 가능

 

>> KT

1) 확인  [마이KT ] 전체메뉴 가입정보 부가서비스

            KT 홈페이지 로그인 마이페이지 상품/서비스 부가서비스 조회

2) 해지 방법

       - 앱/웹에서 직접 해지

       - 고객센터 100상담원 연결

       - KT 플라자 방문 가능

 

>> LG U+

1) 확인  [U+ 고객센터 앱] 나의 가입정보 부가서비스 조회

             U+ 홈페이지 로그인 마이페이지 상품/서비스 조회

2) 해지 방법

       - 앱/웹에서 직접 해지 가능

       - 고객센터 101상담원 연결

       - 오프라인 U+ 매장 방문

 

한가지 더 말씀 드리자면 소액결제 내역도 함께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유료 부가서비스 외에도, 휴대폰 소액결제를 통해 콘텐츠 요금이 빠져나가는 경우가 있습니다.

 

반응형